요즘 코인 투자 얘기할 때 “스테이킹 하셨어요?” 이런 말, 한번쯤 들어보신 적 있으시죠?
저도 첨엔 이게 뭔가 했어요. 무슨 고급 기술 같은 느낌인데 알고보면 의외로 단순하더라구요. ㅎㅎ
스테이킹이란 거, 쉽게 말하면 내가 가진 코인을 그냥 지갑에 두는 게 아니라, 특정 네트워크에 ‘맡겨두고’ 거기서 나오는 보상을 받는 거예요. 말하자면 블록체인 은행에 예금하는 느낌...?
이게 가능한 이유는, 요즘엔 PoS(지분 증명) 기반의 블록체인들이 많아져서 그래요. PoS는 채굴 대신 코인을 ‘얼마나 많이, 얼마나 오래’ 맡겨두느냐가 중요한 방식이에요. 이더리움도 요즘은 이 구조죠.
저도 요즘 소소하게 몇 종류의 코인을 스테이킹 중인데요,
스테이킹 가능한 코인 종류를 몇 개 소개하면,
- 이더리움(ETH): 이제는 스테이킹 대표 코인이 된 느낌이에요.
- 솔라나(SOL): 빠르고 저렴해서 스테이킹도 많이들 하죠.
- 코스모스(ATOM): 보상률 괜찮고 지갑 연결도 쉬워요.
- 폴카닷(DOT): 이자율 높은 편이라 좀 더 공격적으로 투자하는 분들이 선호~
- 에이다(ADA): 보상은 조금 낮은데 꾸준해서 믿고 맡긴다는 분들도 있구요.
근데 좋은 점만 있진 않아요~
우선 장점은 당연히 ‘아무것도 안 해도 보상이 생긴다’는 거예요. 그냥 들고만 있으면 수익률 5~10% 이렇게 쌓이니까 꽤 괜찮죠. 매도 버튼 누를 일 없이 가만히 있으면 되니까 심리적으로도 편하구요.
반면에 단점은... 이게 묶여 있다는 거.
코인을 스테이킹하면 바로 뺄 수 없고 ‘언스테이킹’이라는 과정을 거쳐야 되는데, 그게 몇일 걸리는 경우도 있더라고요.. 넘 치명적인 단점이죠.. ㅋㅋ
갑자기 시장 급락했을 때 대응이 어렵죠. 저도 예전에 이런 일이 있어서 꽤나 당황 했던 기억이 나요..
또 보상이 코인으로 주어지다보니, 그 코인 가격이 떨어지면 수익이 반감되기도 하구요.
결론적으로, 스테이킹은 장기적으로 들고 갈 코인이 있을 때 괜찮은 선택 같아요. 단타 위주로 하시는 분들에겐 별로 안 맞을 수도 있구요.
특히 최근같은 시즌에는 스테이킹을 시작하기 살짝 애매한 느낌인데요?
저는 일단 큰 돈은 아니고, 소액부터 넣고 천천히 공부하는 중인데, 하루하루 보상 쌓이는 재미가 나름 쏠쏠하더라구요ㅎㅎ
혹시 스테이킹 해보신 분들 계신가요?
어떤 코인으로 하셨는지도 궁금하네요! 댓글로 공유해주시면 저도 참고할게요~~^^
'#암호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인 김치프리미엄 김프 뜻 사이트 확인은 필수죠? (4) | 2025.05.11 |
---|---|
거버넌스 뜻, 개념 어렵다고? 예시로 쉽게 알아보자 (2) | 2025.05.10 |